날씨가 그렇게 춥지 않은데 유독 추위를 많이 타서 다른 사람에 비해 옷을 두껍게 껴입어야 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체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근래 들어 이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주로 인체의 필수 적인 아미노산인 요오드의 부족에 의해 발생합니다.
갑상선기능장애 증상
갑상선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면 호르몬 분비가 줄거나 과도해질 수 있는데 과도해지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줄어들면 '갑상성기능저하증'이 발생합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나타나면 더위를 심하게 타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며 체중이 감소하고 설사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대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저하되어 체내 호르몬 수치가 정상보다 낮거나 결핍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갑상성기능저하증이 있으면 전반적인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기는데 주로 만성피로, 부종, 저체온, 수족냉증, 우울증, 불면증, 피부 건조, 변비, 관절 및 근육통, 기억력 및 집중력 저하가 나타나며, 또한 식욕부진을 겪으면서 체중은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주요 징후'
1. 저체온 체온이 36 미만으로 측정된다.
2. 눈썹 바깥 1/3 부위의 털의 감소나 소실.
3. 전체적인 안면부종이 일어나거나 특히 눈 위아래의 부종이 현저해짐
4. 혀가 커져서 혀끝이 이빨에 잘 닿아 자국이 생긴다.
5. 갑성성이 비대해지거나 작아진다.
6. 모발이 가늘어지고 윤기 없이 푸석거리거나 끝이 갈라지고 탈모가 심해진다.
7. 피부가 건조하고 땀분비가 감소한다.
8. 손발톱이 약하고 잘 부서지며, 손톱 바닥의 색깔이 분홍색이 아닌 노랗게 뜬 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손톱에 수직으로 능선같이 패인 선이 생긴다.
9. 말과 행동이 느려진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핵심 증상'
1. 피로감: 무기력감 등 신체 활동이 크게 없음에도 피로감을 잘 느낌.
2. 졸림: 특별한 이유 없이 자주 졸림
3. 기억력 저하: 기억력이 떨어지고 멍해짐
4. 전신통: '삭신이 쑤신다', '온몸이 아프다'라고 자주 표현함.
5. 우울, 불안, 초조: 우울하고 기분이 늘 처져 있고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함
6. 추위를 잘 탐: 손, 발이 늘 차고 추위를 잘 못 견딤
7. 쉰 목소리: 목이 자주 칼칼해지며, 쉰 목소리와 함께 목소리 톤도 낮아짐
8. 체중 증가: 맣이 먹지도 않는데 체중이 자꾸 증가함
9. 변비, 소화불량, 자주 체함: 위산 분비 저하로 소화를 잘 못 시킴
10. 두통, 어지러움: 투통과 어지러움으로 신경외과에 내원하는 경우가 잦아짐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원인과 해결
요오드 결핍은 갑상선 질환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요오드가 부족해지면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과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이 저하되어 갑상선 비대증이나 갑상선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보건원은 요오드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갑상선기능 항진호르몬(TSH)의 과다 성장을 막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해수에는 이온화된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기에 해산물을 통해 요오드를 섭취하기 쉽습니다. 섭취된 요오드는 위와 소장에서 흡수되어 갑상선과 신장으로 전달됩니다. 요오드는 보통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정도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됩니다.
과도한 요오드 섭취가 되려 갑상성기능저하증의 원인이라 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요오드 섭취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인은 김과 미역 같은 해산물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요오드에 대해 크게 신경 쓸 필요 없다는 주장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요오드는 체내에 들어온 합성첨가물, 환경호르몬, 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 그리고 각종 대기의 오염원들과 결합해 쉽게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권장량의 요오드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할 수 있고, 실제로 일상적으로 해산물을 섭취하는 사람이라도 검사 결과 요오드의 부족이 빈번히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세계 보건기구(WHO)는 약 10억 명의 사람들이 식단의 요오드 부족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겪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적정 요오드 섭취량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하는 성인 기준 일일 요오드 권장 섭취량은 0.15mg이고 한국도 이와 같습니다. 이것은 해독작용으로 배출되는 요오드를 계산하지 않은 순수히 인체에 필요한 양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임산부(임신부 0.24mg, 수유부 0.34mg)는 더 많은 요오드를 필요로 하는데, 특히 임신기간이나 수유 중에 산모가 요오드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아이의 지능이 10~15 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현제 한국의 요오드 상한 섭취량은 2.4mg입니다. 기능 의학에서는 '방사능 유출'과 '환경오염'의 원인을 들어 요오드 섭취량을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요오드 부족과 관련된 질환에 대해 25~50mg 까지도 처방하기도 합니다.
- 김100g : 527.12μg (약 0.5mg)
- 말린 미역 100g : 8691.53μg (약 8.6mg)
- 구운 김 1장: 72μg (0.072mg)
- 미역국 한그릇: 1700μg (1.7mg)
참고로 음식을 통해 요오드 25mg을 먹으려면 김 약 347장, 미역국 약 15그릇 정도가 필요합니다.
저체온증 예방을위한 요오드가 풍부한 음식
계란 1개/ 0.045mg
대구 100g / 0.17mg
새우 100g/ 0.10mg
고등어 100g/ 0.15mg
홍합 100g /0.13mg
굴 100g / 0.06mg
치즈 100g/ 0.032mg
녹두 100g/ 0.030mg
요구르트 100ml / 0.060mg
* 자료출처: 중앙대학교병원, 요오드 기능의학 연구소, 식품의약품 안전청
내츄럴플러스 멀티밸런스 요오드 30g
COUPANG
iryan.kr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
* 자료출처: 중앙대학교병원, 요오드 기능의학 연구소, 식품의약품 안전청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기에 기생충이 있을때 나타나는 증상 (0) | 2022.11.22 |
---|---|
행복호르몬 '도파민'의 노예가 아닌 주인이 되는 법 (0) | 2022.11.20 |
8차 코로나 대유행 대비 ‘이부실드’ 투약 대상 확대 (0) | 2022.11.15 |
SIBO 극복에 도움을 주는 보조식품 7가지 (0) | 2022.11.11 |
SIBO 소장세균과다증식증의 원인은?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