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전 포스팅에서 헬리코박균 제거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헬리코박터 제균에 좋은 약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헬리코박터 균은 전세개인의 50% 한국인이 70% 가 보유하고 있는 WHO와 국제 암 연구소가 지정한 위암 발생 인자입니다.
들어가기 전에 헬리코박터균의 역사에 대해 짧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의 발견
헬리코박터균은 호주의 생리학자 배리 마셜 박사(Barry James Marshall)와 로빈 워렌 박사(John Robin Warren) 의 연구에 의해 밝혀 졌습니다.
재미 있는 일화로는 스스로 배양한 헬리코박터균을 섭취한 후 위궤양에 걸림으로 "아 우리의 연구가 헛된 것이 아니었구나" 라고 외치며 기쁜 마음으로 항상제 치료를 통해 회복했다고 전해 집니다.
헬리코박터균에대해 알려지기 이전에는 원인도 모른체 평생토록 위관련 질병으로 고통 받았던 사림이 많았다고 하는데 항상제치료로 단기간에 완전 회복이 가능해 진 점은 정말로 의학계의 쾌거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후 두 박사는 헬리코박터균이 위염의 원인인 점을 발견한 공로로 2005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됩니다.
헬리코박터 치료의 문제점
헬리코박터균은 항생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데, 항생제 치료의 문제점은 헬리코박터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나 환자의 약물에 대한 부적응의 문제로 20% 정도는 치료에 실패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만약 1차 항생제 치료에 실패하면 항생제 사용을 늘리고 다른 유형의 항생제를 추가로 복용해야 하는데, 항생제는 유해균과유익균모두를 박멸 시키기 때문에 여러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70%가 헬리코 박터균을 가지고 있고 재발률이 높다는 점에서 항생제 치료는 분명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헬리코박터균의 내성이 없는 비항생제적 치료약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헬리코박터균 치료 효과가 있는 약초 3가지
1. 고련피
고련피는 멀구슬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을 말합니다. 한의학에서 주로 회충, 요충을 제거하고 풍진과 개선을 치료합니다.
약리 작용으로 촌충구제약 및 회충 등의 장내기생충제거, 트리코모나스질염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있습니다.
실험결과 고련피나무는 헬리코박터의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Amoxicillin sodium, 메트로니다졸) 대비 74%의 억제력이 있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2. 오배자

오배자는 매미목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붉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을 말린 약제입니다.
오배자에는 향균과 살균작용을 하는 타닌이 다량 함유 되어있습니다. 뛰어난 살균력으로 폐렴구균, 장티푸스, 황색 포도상균 등 유해균을 살균해 줍니다.
한의학에서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구내염, 혈뇨등에 처방 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의해 헬리코박터균에도 뛰어난 제균력을 보여준다고 알려 졌습니다.
오배자는 헬리코박터의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Amoxicillin sodium, 메트로니다졸) 대비 71.1%의 억제력이 있다고 보고 되었습니다.
3. 개똥쑥(wormwood)

중국의 약리학자 투유유는 개똥쑥을 이용한 말라리아 치료 성분인 아르테미니신의 발견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약리연구를 통해 개똥쑥은 해열, 함염, 진통, 항말라리아, 항흡충(기생충), 면역조절, 항종양, 향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개똥쑥 또한 타닌이 풍부한데, 개똥쑥이 헬리코박터균의 치료에 활용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를 통해 개똥쑥( Wormwood)은 헬리코박터의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Amoxicillin sodium, 메트로니다졸) 대비 69.2%의 억제력이 있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실로 자연은 인간에개 다양한 성분들의 약효를 베풀어 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어서 빨리 연구자님들의 노고가 과실을 맺어 항생제를 대처할 수 있는 생약성분의 헬리코박터 치료제가 개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연구자료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약용식물의 항균 효과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에 발생한 곰팡이균을 제거하는 방법 (1) | 2022.10.25 |
---|---|
실내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곰팡이균과 그 증상 (1) | 2022.10.25 |
헬리코박터균 제거에 좋은 음식 8가지 (0) | 2022.10.20 |
비타민은 유전자를 제어하는 스위치 입니다 (0) | 2022.10.18 |
약방의 감초! 감초의 효능과 부작용 (2) | 2022.10.15 |
댓글